반응형

 

상속인의 상속회복청구권 개념 및 행사방법 핵심 요약

 

 


상속인의 상속회복청구권 개념 및 행사방법에 대해 궁금할 수 있습니다.
그 답을 법률적으로 해석하고 알기 쉽게 풀어 보겠습니다!

 

 

 


* 상속회복청구권의 개념


1.  “상속회복청구권”이란 상속권이 참칭상속권자로 인하여 침해된 경우 상속권자 또는 그 법정대리인이 그 침해의 회복을 위해 갖게 되는 청구권을 말합니다.

 


2. '참칭상속권자'의 '참칭'은 분수에 넘치는 칭호를 멋대로 이르는 것으로서 참칭상속권자(또는 참칭상속인)는 스스로 상속인이라고 참칭하면서 상속재산의 전부나 일부를 점유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즉 법률상 상속권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상속인으로서의 지위를 보유하는 사람으로서, 상속인이 아닌 사람이 고의로 상속재산을 점유하거나, 상속결격자가 상속인으로 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 상속회복청구권의 행사방법 

 

 

1. 상속회복청구권 행사기간의 성질


(1) 상속회복청구권은 상속권의 침해를 안 날부터 3년, 상속권의 침해행위가 있은 날부터 10년의 제척기간을 정하고 있고, 이 기간은 제소기간으로 봅니다.


(2) 그러므로 제척기간의 불이익을 받지 않으려면 반드시 상속회복청구의 소를 제기해야 합니다.


(3) '제척기간'이란 법률권리관계를 빨리 확정하기 위하여 어떤 종류의 권리에 대하여 법률이 정하고 있는 존속 기간을 말합니다. 


(4)이 기간이 지나면 권리가 소멸됩니다.

 

 


2. 재판상 행사


(1) 상속회복청구의 재판상 청구는 민사소송절차에 따릅니다.

 


(2) 민사소송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민사소송절차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3) 재판상 청구가 있는 경우 소의 관할은 피상속인의 주소지의 법원에 속합니다.

 


(4) 상속회복청구권이 재판상 청구로 행해지는 경우 상속회복청구권은 상속재산의 회복을 청구하기 위한 이행청구를 구하는 법원의 재판이고, 상속인이 상속재산에 대해 가지는 일체의 개별적 청구권과는 다른 특별한 포괄적 권리입니다.

 

 

 

 

* 상속회복청구권자 및 상대방

 


1. 상속회복청구권자


(1) 상속인과 법정대리인은 상속회복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2) 포괄적 유증을 받은 수증자도 상속회복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2. 상대방


(1) 상속회복청구의 상대방은 참칭상속인입니다.

 

 

(2) 참칭상속인(僭稱相續人)

 

“참칭상속인”이란 상속권이나 상속분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상속인으로 신뢰할 만한 외관을 갖추고 있거나 자기를 상속인이라고 주장하여 상속재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점유하고 있는 사람을 말합니다.

 

 

 

 

(3) 참칭상속인이 될 수 있는 사람


공동상속인


후순위상속인


상속결격자


무효혼인의 배우자


허위의 기재로 호적(현. 가족관계등록부)상 자녀로 올라가 있는 사람)


무단으로 상속재산의 전부나 일부를 점유하고 있는 사람


참칭상속인으로부터 법률행위 그 밖에 계약에 따라 상속재산을 취득한 사람

 

 

(4) 참칭상속인이 될 수 없는 사람


스스로 상속인이라고만 하고 달리 재산의 점유 등 상속침해행위를 하지 않는 사람

 

 


* 상속회복청구권의 행사기간


(1) 상속회복청구권은 그 침해를 안 날부터 3년, 상속권의 침해행위가 있은 날부터 10년을 경과하면 소멸됩니다

 


(2) "침해를 안 날부터 3년"은 단순히 상속개시의 사실을 알 뿐만 아니라 자기가 진정상속인임을 알고 상속에서 제외된 사실을 안 때로부터 그 기간을 기산(起算)합니다.

 

 

 

* 상속회복청구의 효과 

 


원고의 승소판결이 확정되면 피고(참칭상속인)는 그 판결대로 진정상속인에게 상속재산을 반환해야 합니다.

 

 

 


상속인의 상속회복청구권 개념 및 행사방법 요약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아래는 상속의 승인 및 상속포기 포스팅입니다.

 

상속의 승인, 상속 한정승인, 상속포기 결정 차이점 핵심 요약

상속의 승인, 상속 한정승인, 상속포기 결정 차이점 핵심 요약 상속 승인, 한정승인, 상속포기에에 대해 궁금할 수 있습니다. 그 답을 법률적으로 해석하고 알기 쉽게 풀어 보겠

kindkind.tistory.com

 

행복한 하루되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